교육/강좌
- 홈
- 교육/강좌
A3 민화 신청자:15/15명 , 대기자:1/10명 | |||||
강좌영역 | 문화예술 아카데미 | 강좌상태 | 추가모집 마감 교육완료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신청기간 |
2024-07-25(목) 14:00 ~ 2024-08-14(수) 18:00 ※ 취소는 신청현황 페이지에서 교육시작 50일전까지만 가능합니다. |
||||
교육기간 | 2024-08-22(목) ~ 2024-12-05(목) | ||||
강의시간 | (목) 10:30~12:30 | ||||
수강신청방법 | 온온라인 ※ 선별방법 : 선착순 | 수강료 | 유료 92,000원, 부대비용 10,000원 (재료비월평균) | ||
강의장소 |
5층 미술실 14596 경기도 부천시 장말로 107 복사골문화센터 5층 |
||||
수강대상 | 성인 | ||||
정원 | 15명 + 대기자 10명 | ||||
우선인원 정원 | 0명 | ||||
주최 | 부천시여성회관 | ||||
문의 | 032-324-6633 | ||||
첨부파일 |
상세정보
-
강의소개
목 표
*우리 민화의 아름다움을 재인식하고 전통적인 채색기법을 습득한다
*민화 작가를 양성과 타 공예와 접목하여 민화의 세계화를 지향
교재명/출판사
백한가지 뜻 풀이/ 김용권
준비물
재료비: 43,000원 ( 재료비 항목: 개다리 소반)
개강일 준비물 : 물감, 붓, 물감접시, 물휴지등수강시 유의사항 및 취소/환불 규정
환불 안내
○ 신청방법 : 현장방문, 이메일, 팩스 접수
(메일주소 womanbwyf@naver.com, 팩스번호: 032-321-6979)
○ 구비서류 : 환불신청서, 통장사본
○ 환불소요시간: 강좌 환불은 환불신청일(필요서류 완비 확인) 후 2주 정도 소요됩니다.
○ 환불규정
· 수업개시 이전 전액환불
· 1주 수업 후 11주 수강료 환불 / 2주 수업 후 10주 수강료 환불 / 3~4주 수업 후 8주 수강료 환불
· 5주 수업 후 7주 수강료 환불 / 6주 수업 후 6주 수강료 환불 / 7~8주 수업 후 4주 수강료 환불
· 9주 수업 후 3주 수강료 환불 / 10주 수업 후 2주 수강료 환불 / 11~12주 수업 후 환불 불가강사소개
{강사소개} 강사명, 주요경력 소개 강사명 양명성 주요 경력 제 1회 대한민국민화대전 최우수상(2015)
김삿갓문화제 장려상(2013)
순천미술대전 특별상(2012)
전주전통고예전국대전 특별상(2010)
개인전4회(몽골울란바타르국립현대미술관 / 인사동한국미술관 / 뉴욕롱아일랜드arp갤러리 / 부천소향갤러기
경희대학교교육대학원 아동미술교육자과정강사
복사골문화센터 민화 강사
現 소유민화화실
現 부천시여성회관 민화 강사
現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작민화학과 특별과정 강사 -
커리큘럼 - 강의 구분, 교육주제, 세부교육내용 등 정보 제공 제1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민화의 이해와 상징성을 알고 붓의 종류와 물감의 종류를 안다
제2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목재 소반의 사포후 오일 스텐 작업하기
제3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소반에 밑 그림 그리기
제4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모란1. 꽃잎 1차 채색
제5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모란2. 꽃잎1차 채색
제6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나뭇잎 1차 채색
제7강 - 교육주제 : 휴관(법정공휴일)
- 세부교육내용 : 개천절
제8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모란꽃1.2 꽃잎 3차 채색
제9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모란꽃 꽃잎 가장자리 표현
제10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모란꽃 꽃잎 가장자리 표현
제11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나뭇잎 2차 채색하여 음영 표현하기
제12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나뭇잎 3차 채색하여 음영 표현하기
제13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나뭇잎 잎맥 그리기
제14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작품의 미비한곳 채색
제15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작품의 미비한곳 채색후 바니쉬 칠하기
제16강 - 교육주제 :
- 세부교육내용 : * 개다리 소반 완성
* 작품 감상 및 비교 평가